죽음을 알았을 때
사람이 자신의 죽음을 알게 되었을 때 느끼는 심정은 매우 복잡하고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심리학에서는 죽음을 앞둔 사람의 심리적 변화를 여러 단계로 설명하며,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가 제시한 '슬픔의 5단계(Kübler-Ross's five stages of grief)'가 대표적이다.
이 단계들은 순서대로 나타나지 않거나 일부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는 죽음을 앞둔 사람의 심리 변화 5단계의 감정 및 심리 상태의 주요 특징을 보면 1.부정 (Denial)" 아니야, 그럴 리 없어." "오진일 거야."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충격 상태에 빠지며, 상황을 외면하려는 태도를 보이며 2.분노 (Anger) "왜 하필 나에게 이런 일이." "세상이 불공평해." 왜 자신이 이런 운명에 처해야 하는지 세상, 의료진, 가족, 심지어 신에게까지 분노를 표출하며 3.타협 (Bargaining) "조금만 더 살 수 있다면...", 등 죽음을 피하거나 시간을 벌기 위해 어떤 대가(선행, 봉사, 신체 기증 등)를 약속하거나 협상하려는 시도를 보이며 4.우울 (Depression) "이제 희망이 없구나." "모든 것이 끝이네." 현실을 깨닫고 깊은 슬픔, 후회, 죄책감에 빠지며 무기력하고 혼자 있고 싶어 함. 삶을 정리할 기회가 될 수도 있으며 5.수용 (Acceptance) "올 것이 왔구나." 죽음을 피할 수 없는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체념하며, 비교적 평화롭고 고요한 상태로 마지막을 준비하려 한다.
그리고 심리적 요소를 보면, 두려움-미지의 세계에 대한 불안, 고통에 대한 공포, 홀로 남겨질 것에 대한 걱정, 살아온 삶에 대한 심판의 두려움 등이 있을 수 있다. 다음은 삶의 의미 되돌아보기-자신의 삶을 반성하고, 후회스러운 일이나 감사한 일들을 되새기며 남은 시간을 의미 있게 보내고자 하며 그리고 관계 정리-사랑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정리하고, 화해하거나 작별 인사를 나누고 싶어 할 수 있으며 그리고는 자율성 유지 욕구-자신의 상태에 대해 진실을 알고, 남은 삶의 문제들을 스스로 결정하고 싶어 하는 욕구가 강해지는 이러한 감정들은 사람의 성격, 질병의 종류와 진행 속도, 종교적 신념, 가족 및 사회적 지지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다.
종교는 인간이 죽음을 직면했을 때 느끼는 공포와 불안을 완화하고, 삶의 마지막 단계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데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정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죽음을 알았을 때 보이는 심리는 각 종교의 사후세계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일반적으로 종교인들은 죽음을 단순히 '끝'이 아닌 '다음 단계로의 이행'으로 해석하기 때문에 비종교인에 비해 더 큰 평안이나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주요 종교별로 임종을 앞둔 사람의 심리적 특징이다.
1. 기독교 및 가톨릭 (유일신교)
- 이들 종교는 믿음을 통한 영원한 생명(천국)을 핵심 교리로 하며 죽음을 '하나님/주님과의 상봉' 또는 '본향(천국)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여기기 때문에 평안함과 기대감을 가질 수 있다. 육신의 고통에서 해방되어 영원한 안식에 들어간다는 믿음이 불안을 감소시킨다.
2. 불교 (윤회 사상)
- 불교는 죽음을 윤회의 과정 중 다음 생으로 넘어가는 이행으로 이해하며, 현재의 마음 상태를 중요시하며 죽음은 끝이 아니라 다음 생의 시작(윤회)이며, 이는 현재의 업(業)에 의해 결정된다고 믿는다. 따라서 죽음 자체에 대한 공포보다는 다음 생에 대한 걱정을 가질 수 있다.
3. 이슬람교 (알라의 심판)
- 이슬람교 역시 유일신(알라)을 믿으며, 죽음을 새로운 영원한 삶으로 가는 교량으로 여긴다. 죽음은 현세의 삶을 마감하고 알라의 심판을 받는 과정이며, 진실한 믿음을 가진 사람은 천국으로 간다는 희망을 가진다. 죽음은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이자 기쁨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면 9.11 테러 당시 납치된 비행기에 탑승객들의 죽음을 알았을 때 "여보, 나 당신 사랑하는 거 알지? 당신 다시 볼 수 있게 되면 좋겠어. 또 “내 아이들에게 내가 정말 사랑한다고 전해줘, 정말 미안해, 또 어떤 이는 자기야. 너의 얼굴을 다시 보고 싶어, 베이비. 사랑해." 등 가장 많은 통화 내용은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들을 향한 절절한 작별 인사와 사랑 고백이었다.
이렇듯 우리는 질병이든 극한 상황이든 간에 죽음이 마음에서 읽혔을 때 어떠한 심리적 갈등을 겪을 것인가는 개개인 몫이 될 것이다. 의식이 있다면 눈물이 답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