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사설
  • 기자명 빛가람타임스 기자

경제적 가치 활용방안을 제시해야

  • 입력 2015.01.29 15:28
  • 댓글 0

 지난 2000년 5월 최선정 당시 노동부 장관은 ‘법정 근로시간을 주 40시간으로 단축하는 근로기준법을 개정’하겠다는 견해를 밝히자 찬반 논쟁이 전국을 강타했다. 노동계는 대환영을, 사업장은 궂은 날씨로 뒤덮였으며, 불교계는 “발 빠르게 산사(山寺) 순례체험을 하는 신도가 늘어날 것”이라며 반기었으나 기독교계는 “주말에 교외로 빠져나갈 것이 불 보듯 뻔하다”며 반대했다.
이런 팽팽한 찬반 의견에 홍역을 치른 끝에 2004년 7월 주5일제가 시행됐다. 주5일 근무가 시행된 지 11년째 접어든 시민의 삶은 몰라보게 변했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 의하면 근로자의 주당 근무시간이 기존 2003년 49.1시간에서 2014년에는 43.1시간으로 6시간 줄어들었다. 이를 분석해 보면 과거 ‘양’적 중심에서 ‘질’적 노동현장으로 탈바꿈했다.
과거 ‘불타는 토요일’ 대목이 ‘뜨거운 금요일’에 자리를 내줬다. 근로자의 회식도 자연스럽게 목요일로 앞당겼고 주말을 1박 2일이나 2박 3일을 활용하는 변화를 가져왔다. 차츰 주5일제가 정착되면서 작은 변화가 나주 곳곳에 감지되고 있다.
영산강을 따라 펼쳐진 자전거 도로에는 자전거 광들로 북적거리고, 전국 8대 명산 중 하나인 금성산은 인파로 빽빽이 물들인다. 인접 도시와 이동이 쉬운 중흥파크 및 영산강 둔치는 다양한 놀이문화와 먹거리로 장사진이다. 다양한 국내·외 활동뿐만 아니라 주5일제 미치는 영향이 곳곳에 생기가 느껴진다.
반면, 업종과 규모에 따라 주5일제로 인한 영향은 편차가 심하다. 나주시 농공단지에 입주해 있는 기업은 대부분 영세기업으로 먼 나라 얘기다. 인건비 부담과 복리후생비, 단가상승 등 제반 비용 때문에 지역에 입주한 영세기업은 울상이다.
하지만 어려운 지역경제여건에도 나주에 한 가닥 희망의 불이 밝혔다. 바로 16개 공기업이 둥지를 틀고 나주시대를 열어간 그것이다.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상생과 협력’으로 나주에 활력을 넣게 된다. 농업과 첨단산업의 조화, 화해와 소통으로 혁신도시가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시민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가장 급선무는 주5일제로 유입된 인력을 어떻게 활용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하느냐 문제는 전적으로 나주시에 달렸다. 나주시가 보따리를 풀어 공기업 인력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경제적 가치 활용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그렇지 않아도 기반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볼멘소리에 시가 귀 기울여야 한다.
물론 안전이 급선무다. 며칠 전 동호회원과 함께 모토패러글라이딩 하다 인근 지역에서 추락 사고가 있었다. 주5일제로 레저 스포츠가 활발하게 활성화 되면서 사고가 부쩍 잦다. 안전에 대한 대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며칠 후면 서울까지 1시간 30분 거리로 KTX시대가 열린다. 혁신도시 인구 뿐 아니라 지역민도 서울까지 빠져 나가게 된다. 이에 대한 시와 시민이 머리를 맞대고 나주가 살고 시민이 살고 지역경제가 사는 대안 제시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